페스티벌

축제 안으로 축제를 들이다

새로운 시대는 모종의 폭발로 시작하기 마련이고, 무언가 끝날 때 폭발이 일어나기도 한다. 고된 시대일수록 폭발은 일어나기를 고대하는 대상이 아니라, 함께 모이고, 함께 머무르고, 연대의 형태를 실천하는 일, 무언가를 바라보기보다는 함께 있음을 즐기는 일이 된다.

축제의 긴 역사를 돌이켜 보면, 축제가 스펙터클과 동의어가 된 것, 표현과 관객, 생산자와 수용자 간에 명확한 구분이 지어진 것은 최근의 일이다. 수백 년 동안 축제는 무언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 함께 있고 함께하는 것이었다. 유명 배우나 팝스타처럼 성공한 인물을 추앙하는 것도 아니었다. 성공해야 하는 것은 축제 그 자체, 그러니까 모두가 함께 평등하게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축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기간 만큼은 계급이 사라져 모두가 평등한 위치에 놓이고, 지위, 가문, 소속은 가면 뒤로 숨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 축제의 시간은 무정부적이고 조직화되지 않는 시간이었으며, 모든 것이 가능해지고 가치 체계가 제자리를 벗어나는 순간이었다.
옵/신은 현대적인 형태의 축제이지만, 올해는 ‘함께하기’라는 축제의 옛 정신을 살려보고자 한다.

극장이라는 장치는 특정한 시선과 경험의 방식을 제안한다. 우리가 눈으로 공연을 보고 스펙터클을 소비하는 방식은 우리가 지구를 바라보고, 경험하고, 소비하도록 배워 온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형태의 예술은 지구를 소비하고 이용하는 것이 괜찮다고 가르친다. 되돌려주지 않고 가져가는 것, 그 귀결을 생각하지 않고 추출하는 것 말이다. 과연 공연예술은 이러한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돌봄, 함께하기, 친밀감, 뒤얽힘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대안적인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까?

올해 옵/신 페스티벌은 축제의 사회적이고 참여적인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작은 규모, 단일 공연장, 허물없는 형식을 선택했다. 스크린에서 익명으로 시간을 보내기 위해 바깥세상을 차단하거나, 익명의 관객으로 머무르다 가는 대신, 함께 모이고 서로 나누는 일이 더 시급한 과제가 된 것은 아닐까? 그렇기에 올해의 축제는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진행되며, 공연을 음식, 디제잉, 워크숍, 산책, 출판 등과 함께 버무린다.

올해 옵/신에서 모이게 될 예술가, 사람들, 작품, 모임, 워크숍, 어울림은 다른 세상을 만들기 위한 공동의 기여다.

프로그램

연계 행사

  • 『옵.신 10호』 출판 기념회
    포럼
    • 11.19.화 20:30
    • 아케이드 서울

    • 무료
    • 영어, 한국어

    제10호 옵.신 매거진은 주체성이나 인간성을 우회하거나, 건너뛰거나, 오염시키거나, 간섭할 수 있는 경험과 감각의 가능성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경험은 상상할 수 있는 것일까? 아니면 이런 경험은 의도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우연히 나타나는 사건이나 네거티브의 형태여야 하는가?

    주체는 개인으로 하여금 인상을 매개하고, 실제적, 현상적, 상상적 세계를 탐색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주체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통치성과 권력 역학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다. 주체에 대한 참여는 결코 순수할 수 없으며, 언제나 노동, 가족 구조, 성별, 인종 등과 상관관계를 맺는다. 매개가 존재하지 않는 경험의 가능성은 주체의 정치학을 무력화하고, 다른 방식으로 주체를 형성해야만 하는 필요성을 불러온다.

    예술, 특히 미적 조우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경험 중 그러한 감각의 형태가 출현할 수 있는 매우 드문 영역 중 하나다. 이러한 감각은 뒤얽힌 삶의 편안한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폭력적이지만, 동시에 이렇게 생겨난 균열은 곧 자유를 말하기에 황홀경이 되기도 한다.

    마텐 스팽베르크가 게스트로 기획한 이번 호 옵.신은 이론적 탐구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의 작품을 통해 한 개인을 형성하는 규제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방식을 질문하는 예술가들의 글과 도록을 싣는다.

    축제 중 기획자와 기고자들이 대화를 나눌 예정이며 이와 더불어 출판물을 만나볼 수 있다.

일정

2024. 11. 15
2024. 11. 16
2024. 11. 17
2024. 11. 18
2024. 11. 19
2024. 11. 20
2024. 11. 21
2024. 11. 22
2024. 11. 23
2024. 11. 24

장소

예약

예약페이지

  • 11.8.금 2PM 2차 티켓 오픈!
  • (리움미술관 홈페이지에서 예매 가능합니다. 예매시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

세실리아 벵골레아 ‹베스티아레› 예약 페이지
안젤라 고 ‹토털› 예약 페이지
서영란 ‹함께 짓기› 예약 페이지

일정표 다운로드

연락

아카이브

크레디트

  • 예술 감독: 마텐 스팽베르크
  • 매니징 디렉터: 조화연
  • 책임 프로듀서: 구예나
  • 어시스턴트 프로듀서: 편지지
  • 홍보 마케팅 매니저: 김지후
  • 코디네이터: 송소연, 우희서

  • 그래픽 디자인: 슬기와 민
  • 웹사이트 제작·디자인: 민구홍 매뉴팩처링
  • 서브 디자인: 김국한

  • 번역: 김신우
  • 아티스트 토크 통역: 김서지
  • 기록물 촬영: 이강선

  • 기술감독: 박기남
  • 음향감독: 김성욱
  • 무대: 김유정

  • 인턴: 구아경, 김선교, 김연수, 남하늘, 남해든, 성무현, 이서진, 조유진, 홍나연

  • 주최/주관: 옵/신
  • 협력 기관: 리움미술관
  • 후원: 스웨덴 인스티튜트